![](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8/31_16_32_16_blog130617_attach_1_108.jpg?original)
그러나 한번 홍수가 나면 수일간에 걸쳐 교통이 두절되어 그 불편함은 이루 헤아릴 수 없었고 1930년대를 전후해서 교통량이 격증하여 하루에 강을 건너는 자동차, 우차, 손수레 등이 수백대에 달하게 되었으므로 도로교통의 원활한 수송을 기하고자 다리를 만들게 되었다.
광진교는 한강인도교에 이은 두 번째의 한강교량으로 843,000원의 공사비를 들여 1934년 8월에 착공하여 1936년 10월에 준공되었다.
![](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7/31_16_32_16_blog130617_attach_1_105.jpg?original)
광진교는 전장 1,037m, 교폭 9m 90cm로서 그 길이에 있어서는 한강인도교보다 길고 그 당시 전조선에서 두번째로 긴 다리로 유심부 구간은 강 truss 구조였다. 그러나 광진교는 한국전쟁중 모두 파손되어 1952년 미8군에 의해서 Steel Gerber 구조인 14경간으로 응급복구되었고 잔여구간은 T형 콘크리트 Gerber 구조의 28경간(연장 608.1m)으로 건설되었다.
![](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8/31_16_32_16_blog130617_attach_1_109.jpg?original)
신설된 교량은 폭 20m, 연장 1056m, 4차로로 상부구조의 유심부 구간은 Steel Box Girder, 고수부지 구간은 Steel Plate Girder이고, 하부구조의 교각은 미적인 면과 주변 환경 등을 고려하여 올림픽대로 통과부분을 제외한 전구간에 라멘형 교각으로 설계되었다.
광진교는 천호대교의 교통량을 분산 처리하여 강남·북의 원활한 교통소통에 기여함은 물론 현재 얼마전 완공된 강변북로와 연결됨으로써 구리시 외곽으로의 교통이용이 용이하게 될 것이다
![](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7/31_16_32_16_blog130617_attach_1_106.jpg?original)
플레이트거더교 구간
![](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7/31_16_32_16_blog130617_attach_1_107.jpg?original)
광진교의 야경..(실제로 보면 좀 보기 안좋습니다.-.-;;)
댓글